본문 바로가기
서술형/공항

항공기 주기장, 유도 업무 차량, 엔진 후류, 계류 규칙, 정보 배포 등 계류장 설명

by road-airports 2025. 4. 4.
728x90
반응형
SMALL
반응형

1. 개요

 1) 국토교통부가 공항시설법에 의해 고시한 비행장 시설 설치기준은 비행장의 신설, 확장 및 개량에 필요한 유도로, 계류장, 대기지역 등에 대한 세부사항을 규정

 2) 계류장이란 비행장 내에서 항공기에 승객을 탑승시키거나 우편 또는 화물을 적재, 급유 주기 및 정비하기 위하여 지정된 구역

 

2. 계류장의 안전 관련 세부사항

 1) 항공기 주기장 배정

  ① 항공기의 지상 주행 방식

   - 항공기가 주기장에 들어가고 나가는 방식은 다양

   - 항공기가 주기 위치에 자력으로 들어가고 나갈 수 있고 견인되어 들어가고 나갈 수도 있으며 들어갈 땐 자력 나올 땐 견인되어 나올 수 있음

   - 계류장 크기 요건과 관련하여 항공기의 진출입 방식은 자력 기동 형태 또는 트랙터 지원기동 형태로 구분

  ② 항공기의 주기장 진출입 방식

   - 자주식

    > 항공기가 트랙터에 의존하지 않고 주기장에 자력으로 들어가고 나가는 방식

    > 자력 이동 항공기는 주기장 진출입 쉽지만 가장 넓은 주기장 면적이 필요

   - 견인식

    > 트랙터와 견인대를 사용하여 항공기를 주기장으로 진출입시키는 방식

    > 가장 보편적인 방식은 유도 진입, 견인식 후진이지만 견인 진출입도 함

 2) 항공기 유도 업무

  ① 유도로는 항공기의 지상 주행 및 비행장의 각 지점을 이동 할 수 있도록 설정된 항공기 이동로를 말하며 다음 사항을 포함

   - 항공기 주기장 유도선: 유도로로 지정된 계류장의 일부로서 항공기 주기장 진출입 만을 목적으로 설치

   - 계류장 유도로: 계류장에 위치하는 유도로 체계의 일부로서 항공기가 계류장을 횡단하는 유도 경로를 제공할 목적으로 설치

   - 고속 탈출 유도로: 착륙 항공기가 다른 유도로 보다 빠르게 활주로를 빠져나가도록 설계하여 활주로 점유시간 최소화

   - 유도로에 교량 설치 않는 것이 원칙이지만 불가피한 경우 유도로 교량을 설치

  ② 유도로의 단계별 건설 고려사항

   - 활주로와 계류장을 연결하는 각종 유도로는 가능하면 단순하고 단거리가 되도록 계획하여 항공기의 지상 이동시간을 단축시켜 용량을 증대시켜야 함

   - 활주로 및 유도로 용량 증대를 계획할 때는 기존 활주로의 수요, 공항 주변 지역의 투자효과, 건설비용과 운영 효과의 B/C 비 등을 분석하여 단일 활주로 용량 극대화 방안과 복수 활주로 추가 방안 상호 비교

   - 단일 활주로에 고속탈출 유도로를 건설하면 투자 효과가 크므로 우리나라 지방 공항의 경우 토지 이용을 고려하여 이를 적극 검토

728x90

3) 항공기 유도 차량

  ① 지상 이동 안내 통제 시스템 (A-SMGCS)

   - A-SMGCS는 개선된 항공기 지상이동 안내 및 통제 시스템

   - A-SMGCS는 공항 주변 항공기의 운항 정보, 기상정보 및 지상감시 레이더와 연계한 위치 정보 등을 기반으로 공항 내 이동 물체를 감시하고 최적 경로를 자동 지정하며 항공 등화를 자동 점소등하여 항공기의 지상 이동경로를 안내

  ② 시각주기 유도 시스템 (VDGS)

   - VDGS는 탑승교 유도 접현 시스템, 주기 위치 지시등, 주기 위치 제어 시스템 등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

   - 현재 인천국제공항에 VDGS를 터미널 및 탑승동 주기장 전면부에 설치되어 있어 지상 이동 중인 항공기에 대한 중심선에서의 편차, 항공기가 탑승교에 접현하고 있는 상황, 현재 주기장이 비어 있는지 여부 등을 쉽게 확인

 4) 항공기 엔진 후류 방지

  ① 항공기의 날개 끝 와류

   - 이륙 중에 날개가 항공기를 들어 올릴 때는 날개 끝부분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통 모양의 와류 2개가 항로를 따라 발생

   - 와류의 속도는 항공기 중량에 비례하고 속도에 반비례하므로 공항 근처에서 저속 비행 할 때 더욱 강한 와류 발생

   - 와류는 뒤따르는 항공기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며 특히 측풍 상태에서 대형기가 선행하며 만든 와류는 소형기가 후행할 때 위험

  ② 제트 분사 방풍벽

   - 항공기가 지상 이동 할때 발생되는 제트 분사력으로부터 인명 장비, 시설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계류장 지역 가까이 방풍벽 설치

   - 공항 내의 보행자, 자동차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활주로 말단 또는 run pad 가까이에 설치

   - 제트 분사 방풍벽을 분사원 가까이 설치할수록 방풍 효과 크고 분사류의 중심이 아래에 위치하면 효과적

 5) 계류장 규칙

  ① 비행규칙 (VFR, IFR)

   - 조종사가 항공기를 조종할 때는 기상 상태에 의한 활주로 시정과 계기 착륙 시설의 설치 유무에 따라 시계비행(VFR)을 하거나 계기비행(IFR)을 선택하여 이착륙

   - 계기 착륙 시설의 설치 유무에 따라 활주로 시정이 동일한 상태에서도 이착륙을 할 수도 있고 못할 수도 있음

  ② 기상상태 (VMC, IMC)

   - 시계 비행 기상상태(VMC)란 통상적으로 시정 구름 간의 운고 등 기상 조건에 근거하여 조종사가 레이더나 항법보조 장비의 도움 없이 육안으로 비행이 가능할 정도로 양호한 기상 상태

 6) 정보의 배포

  ① 항공기의 운항은 매우 복잡, 장거리뿐만 아니라 단거리를 운항하는 경비행기의 경우에도 공역 제한사항, 항공 교통관제 요구사항, 공항 및 주변 시설배치 사항, 공항 운영 시간 등의 운항정보를 제공받아야 비행이 가능

  ② 모든 공항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운항 정보는 항공정보간행물(AIP), 항공 고시보(NOTAM), 실시간 항공편 추적 등이 있음

  ③ 2011년부터 항공정보 간행물(AIP)이 전면 디지털화 되어 관계기관, 항공사, 항공종사자 등에게 제공

SMALL

 

728x90
반응형
LIST

'서술형 > 공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류장 형태 및 계획시 고려사항  (0) 2025.04.03
유도로 종류 및 배치계획  (0) 2025.04.02
활주로 공시거리  (0) 2025.04.01
활주로 길이  (0) 2025.03.31
활주로 배치방법  (0) 2025.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