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터널4

터널 내화 1. 개요 1) 터널 연장의 증가 및 지하화 도로 건설이 증가하고 있어 대형 화재가 발생할 경우 터널 붕괴와 같은 상황이 발생 할 가능성이 증가 2) 터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화재 및 폭발 안전 대처 방안이 반드시 필요 2. 터널 화재의 특성 및 내화 종류 1) 터널 화재의 특성  ① 터널의 온도 변화   - 승용차 화재: 터널 측벽 내부 온도 약 400도까지 상승   - 대형 유조차 화재: 약 1,400도까지 상승  ② 터널의 한계 온도   - 콘크리트 부재: 380도 이내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및 철근: 250도 이내 2) 터널 내화 공법  ① 부재 자체 내화: 섬유 혼입 콘크리트  ② 내화 뿜칠   ③ 내화 보드  ④ 그 밖에 화재로 인한 터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공법3. 터널 라이닝의.. 2025. 3. 30.
터널 갱구부 1. 개요 1) 터널은 도로의 노선 선정 시 우회거리 단축, 절취량 최소에 따른 환경 훼손 방지 등을 고려하여 설치되는 구조물 2) 터널 갱구 위치 선정은 비탈면의 안정, 주변 환경과의 조화, 갱문 형식의 조화 및 주행 차량에 미치는 여향을 고려하여 선정 2. 터널 갱구부 1) 갱구부의 범위  ① 갱문 구조물 배면으로부터 터널길이 방향으로 터널 직경의 1~2배 범위  ② 터널 천장부로부터 토피고 3~5m에서 1.5D 토피고가 확보되는 범위 2) 설계 시 고려사항  ① 위치 및 설계방법, 시공범위  ② 굴착, 보조공법, 지보구조, 라이닝 구조  ③ 비탈면 안정검토 및 비탈면 안정검토 공법  ④ 지표수 및 지하수 배수대책  ⑤ 지표면 침하 등 갱구 주변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3. 터널 갱구부 설계시 유의사항 .. 2025. 3. 24.
터널 방재시설 설치 1. 개요 1) 터널방재시설은 사고예방, 초기대응, 피난대피, 소화구조활동 및 사고 확대 방지를 기본 목적으로 설치. 2) 방재시설의 역할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시설 간 연계성과 설치 목적을 고려하여 관리, 운영을 명확하게 해야 함. 2. 터널 방재시설 1) 터널 방재시설의 종류  ① 소화설비: 소화기구, 옥내소화전설비, 물분무소화설비  ② 경보설비: 비상경보, 비상방송설비, 긴급전화, CCTV  ③ 피난대피설비: 비상조명등, 유도등, 피난 대피시설  ④ 소화활동설비: 제연설비, 연결수송관설비, 제연보조설비  ⑤ 비상전원설비: 무정전 전원설비, 비상발전설비 2) 터널의 방재 등급  ① 연장 등급과 방재 등급으로 구분  ② 연장등급: 터널 연장(L)을 기준으로 결정  ③ 방재등급: 위험도 지수(X)를 기준으.. 2025. 3. 10.
터널 환기시설 설치 1. 개요 1) 터널 내에서는 외부 유입물질, 자동차 배출가스 등에 의해 내부 공기가 오염됨에 따라 운전자의 건강 및 안전에 영향을 미침. 2) 이에 따라 자연 환기 만으로 환기가 불가능한 경우 기계환기 시설에 의한 환기가 필요한 경우 발생. 2. 터널 환기시설 1) 환기 방식 선정.  ① 자연환기방식: 소요 환기량을 교통 환기력만으로 충족할 경우.  ② 기계환기방식: 소요 환기량을 교통 환기력만으로 충족 못 할 경우. 2) 환기 방식 선정시 고려사항.  ① 터널의 제원   - 종단경사는 환기방식에 아주 큰 영향.   - 하향경사는 가스 물질 처리가 용량을 결정.   - 상향경사는 매연처리가 용량을 결정.   - 장대 터널은 피스톤 효과 영향으로 터널 내 풍속이 증대.  ② 터널의 통행 방식.   - 일.. 2025. 2. 24.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