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기하구조7 자율주행 도로 기하구조 1. 개요 1) 자율주행 자동차의 상용화에 따라 탑승자의 안전성, 쾌적성 및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준 정립이 요구 2) 기존의 기하구조 결정의 주요 요소인 인적 요소를 배재하여 완전 자율 주행 도로의 기하구조 변화를 예측 2. 자율주행 수준 및 횡단 구성 변화 1) 자율 주행 수준 2) 횡단구성의 변화 ① 차로폭 - 기존 차로폭의 여유폭 축소 가능 - 기계적 오차 고려 - 여유폭 0.5m 고려, 3.0m 최소 차로폭 가능 ② 중앙분리대의 폭 - 중앙선 침범 방지 불필요 - 위치정보, 센서 오차 고려 - 중앙분리대 폭 0.25m 이상 적용 ③ 길어깨 폭 - 고장차 대피공간, 노면수 집수기능 고려 - 위치 정도, 센서오차 고려 - 측대폭 0.25m 이상 적용3. 자율.. 2025. 4. 6. 일관성 유지를 위한 도로 선형의 조합 1. 개요 1) 고속도로 입체교차 연결로 선형은 인터체인지 형식과 규모에 따라 결정되는데 인터체인지의 성격 (교차도로 규격, 교통량, 차종구성, 교통조건 등)에 적합한 형식과 규모를 결정 2) 특히 연결로에서는 자동차 유출입 유형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차로수 균형 원칙에 맞도록 도로 선형을 조합하여 차로수를 적절히 산정. 2. 입체 교차로 연결로에서 유출입 유형의 일관성 1) 일관성 장점 ① 차로 변경을 줄일수 있어 직진과 좌우회전 교통 간의 마찰 경감 ② 도로 표지를 단순하게 설치하여 운전자의 혼란을 예방 ③ 운전자가 주행 중 정보 탐색 필요성을 감소시켜 안전 운행 가능 2) 일관성 형태 ① 유출입 일관성이 없는 형태 - 유출부가 구조물 전후에 위치 또는 본선 좌우측 유출로 통일되지 않.. 2025. 3. 27. 좌회전 차로의 설치기준 및 설계시 유의사항 1. 개요 1) 회전차로란 자동차가 우회전, 좌회전 또는 유턴을 할 수 있도록 직진차로와 분리하여 설치하는 차로. 2) 좌회전 차로는 교차로에서 좌회전 차량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설치 원리 고려하여 설계. ① 좌회전 차로를 독립된 부가차로 형식으로 설치. ② 기존 도로 폭을 최대한 유효하게 이용. ③ 좌회전 차량을 대향차로의 직진차량과 동일선상에 배치 회피. 2. 좌회전 차로 설치 기준 1) 차로 폭 ① 직진 차로 폭: 접속 유입부 차로 폭과 같도록 하되 3.5m를 3.25m로 축소, 용지 제약 심하면 3.0m까지 축소 가능. ② 좌회전 차로 폭: 3.0m 이상을 표준으로 설계, 기존 교차로를 개선하는 경우 2.75m까지 축소 가능. 2) 접근로 테이퍼(AT) ① 직진차량을 우측.. 2025. 3. 19. 완화곡선 생략 가능한 경우를 나열하고 완화곡선 적용 유의사항 1. 개요 1) 설계속도 60km/h 이상인 도로의 평면 곡선부에는 완화곡선을 설치하여 완화 곡선의 길이는 설계속도에 따라 일정한 값 이상 적용. 2) 평면 선형 변이구간에 설계속도 60km/h 이상에는 완화곡선, 60km/h 미만에는 완화구간 설치를 규정하고 있으나 가능하면 완화곡선 설치 권고 2. 완화곡선의 필요성 1) 평면곡선부를 주행하는 자동차에 대한 원심력을 점차 변화시켜 일정한 주행 속도 및 주행 궤적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완화곡선 설치. 2) (경사의 변이) 직선부 표준 횡단경사 구간에서부터 원곡선부에 설치되는 최대 편경사까지의 선형 변화를 주행속도와 곡선 반경에 따라 접속. 3) (폭원의 변이) 급한 평면 곡선부에서 확폭 할 때 평면 곡선부의 확폭 된 폭과 표준횡단의 폭을 자연스럽게 접속. .. 2025. 3. 13. 도시부 지하도로의 노선 선정 및 기하구조 1. 개요 1) 국토교통부는 '도시지역 지하도로 설계지침'을 제정하여 도시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주행속도 저하, 도로와 주변 환경 개선, 보행자 등 도로 이용자의 안전 향상을 위한 도시지역도로 신설, 개량할 때 적용하는 설계 기준 마련. 2. 지하도로 기하구조 1) 설계기준 자동차는 소형차 전용도로로 정하고 '도로구조시설 기준규칙' 설계속도로부터 20km/h 저감. 2) 하나의 노선으로 연속되는 지하도로는 동일한 설계구간으로 적용하되, 진출입 구간은 설계속도 20km/h 저감. 3) 횡단 구성은 '도로구조시설 기준규칙'을 적용하되 안전성을 고려하여 설계기준 자동차를 소형자동차로 한정하여 배치. 4) 종단 선형은 지장물, 연직갱, 진출입부 등 인접 시설물 위치를 고려하여 'U'형 종단형상으로 구성, 평면선형.. 2025. 3. 6. 배수를 고려한 편경사 접속 설치 방법과 접속설치율 1. 개요 1) 평면 곡선부에서 자동차가 원심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횡단경사. 2) 지역조건, 적설량, 설계속도, 평면곡선 반경 등에 따라 최대 편경사 이하의 비율로 설치.구 분지방지역적설,한랭지역 그밖의 지역도시지역연결로최대편경사(%)6868 3) 편경사 설치 생략 가능한 경우 ① 평면곡선반경이 너무 커서 편경사 필요없는 경우. ② 설계속도 60km/h 이하인 도시지역 도로에서 주변과의 접근, 다른 도로와의 접속을 위해 부득이하게 편경사가 필요 없는 경우. 2. 편경사 접속설치율 1) 편경사가 설치되는 차로수가 2개 이하인 경우, 편경사의 접속 설치길이는 설계속도에 따라 접속설치율 이하의 비율로 설치.설계속도(km/h)1201101009080706050403020접속설치율.. 2025. 2. 27.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