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 활주로 길이 결정은 공항 계획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 중 하나이며 공항의 크기, 건설비, 항공기 운용 방식에 영향을 미침
2) 장래 취항 예정 항공기를 고려해야 하며, 확장 가능성을 고려하여 길이를 결정
2. 활주로 길이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항공기의 최대 이륙 중량
① 항공기 중량 구성
- 항공기의 최대 이륙 중량이 활주로 길이 산정의 전제조건
- 이륙 중량 = 착륙 중량 + 소비 연료
- 각 항공사에서 특정 항공기에 대해 소요 이륙거리 제시
2) 항공기의 성능변수
① 결심속도(V1)
- 결심속도 이상에서는 한쪽 엔진이 작동 불능 시 비행을 계속해야 하는 속도
- 승무원이 이륙 단념 할 수 있는 최대 속도
② 이륙 안전 속도(V2)
- 한쪽 엔진이 작동 불능 상태로 이륙시 35ft에 도달해야 하는 최소 상승속도
- 최소 필요 상승 각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속도
③ 이륙가용거리 (TODA)
- 이륙 안전 속도에 도달 후 활주로 이탈시 35ft까지 도달 거리
- 정상 이륙시 35ft 도달에 필요한 거리의 115%에 해당하는 거리와 비교하여 긴 거리
④ 가속 정지거리(ASDA)
- 엔진에 이상이 생긴 경우 V1이하에서 감속하여 정지하는데 필요거리
⑤ 균형 현장거리
- 가장 경제적인 활주로 길이
- TODA=ASDA
- stop way=clear way 거리
3) 온도
① 높은 온도는 공기밀도 감소, 항공기 추진력 저하
② 표준온도(표고 0m, 15도)에서 1도 상승 시 활주로 길이 1% 증가
4) 표고
① 표고가 높을수록 활주로 길이 증가
② 평균 해수면 보다 300m 상승 시 7% 활주로 길이 증가
5) 활주로 종단 경사
① 하향 경사는 상향 경사보다 활주로 길이 증가
6) 습도
① 온도, 습도가 높은 비행장은 활주로 길이 다소 증가
3. 활주로 길이 결정
1) 길이 산정 과정
① 설계 항공기 선정
② 취항 예정 노선 선정
③ 노선별 연료량 산출
④ 이착륙장 선정
⑤ 활주로 길이 산정
2) 활주로 길이 결정 방법
① 활주로 기본길이를 보정하여 결정하는 방법
- 표준대기(1 기압 15도)에서 경사 0%인 경우에 예상 취항 항공기의 이착륙에 필요한 기본 길이 산정
② 이착륙 성능도표 이용하여 결정하는 방법
- 항공기 운항규정의 이착륙 성능도표 이용
- 항공기 제작사에서 제공한 그래프, 표 이용
- 활주로 유효구배를 보정하여 길이 산정
4. 결론
1) 활주로 길이 산정 시 균형 현장거리를 사용하면 활주로 공사비 절감으로 경제적인 활주로 길이 가능
2) 활주로 길이는 장래 예상되는 취항 항공기의 운항 조건에 모두 만족
3) 해당 비행장의 표고, 기온, 종단경사 등을 고려하여 실제 활주로 필요 길이 결정
'서술형 > 공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도로 종류 및 배치계획 (0) | 2025.04.02 |
---|---|
활주로 공시거리 (0) | 2025.04.01 |
활주로 배치방법 (0) | 2025.03.25 |
공항 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용량 증대 방안 (0) | 2025.03.18 |
장애물 제한표면, 비행공역 (0)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