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활주로3

활주로 공시거리 1. 개요 1) ICAO ANNEX 14에 의해 항공기 이착륙 활주로 공시거리 공시해야 하며 우리나라 모든 공항에서 활주로 별 공시거리를 항공정보 간행물(AIP)에 공지 2) 활주로에 개방구역, 또는 정지로가 설치되지 않고 활주로 시단이 활주로 끝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공시거리 4가지가 모두 동일 2. 활주로 공시거리 1) 이륙활주 가용거리(TORA)  ① 항공기가 이륙하기 위해 바퀴로 굴러가는데 이용하는 활주로 거리 2) 이륙 가용거리(TODA)  ① 이륙 항공기가 이륙하여 일정고도까지 초기 상승하는데 필요한 활주로 길이  ② 개방구역 설치되면 TORA에 개방구역 길이 추가 3) 가속정지 가용거리(ASDA)  ① 이륙 항공기가 이륙을 포기하는 경우 정지하는데 이용하는 활주로 길이  ② 정지로를 설치하면 .. 2025. 4. 1.
활주로 길이 1. 개요 1) 활주로 길이 결정은 공항 계획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 중 하나이며 공항의 크기, 건설비, 항공기 운용 방식에 영향을 미침 2) 장래 취항 예정 항공기를 고려해야 하며, 확장 가능성을 고려하여 길이를 결정 2. 활주로 길이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항공기의 최대 이륙 중량  ① 항공기 중량 구성   - 항공기의 최대 이륙 중량이 활주로 길이 산정의 전제조건   - 이륙 중량 = 착륙 중량 + 소비 연료   - 각 항공사에서 특정 항공기에 대해 소요 이륙거리 제시 2) 항공기의 성능변수  ① 결심속도(V1)   - 결심속도 이상에서는 한쪽 엔진이 작동 불능 시 비행을 계속해야 하는 속도   - 승무원이 이륙 단념 할 수 있는 최대 속도  ② 이륙 안전 속도(V2)   - 한쪽 엔진이 작.. 2025. 3. 31.
활주로 배치방법 1. 개요 1) 활주로의 배치는 풍향, 풍속, 장애물, 소음, 경제성, 단계건설 등을 고려하여 배치 2) 활주로의 배치 계획에 따라 활주로 용량, 터미널 배치, 공항 용량에  영향을 미치므로 계획 시 신중 2. 활주로 배치 형식 1) 단일 활주로  ① 가장 단순, 유도로는 활주로와 평행  ② 동시 이착륙 불가능, 활주로는 양방향 사용 가능 2) 평행 활주로 (시종점 동일)  ① 가장 많이 적용, 단일 활주로에 평행한 활주로 건설  ② 활주로 수와 간격에 따라 용량 차이 발생 3) 엇갈림 활주로  ① 이륙과 착륙을 전용으로 사용  ② 유도거리 단축, 용지 매입 증가 4) 교차 활주로  ① 측풍 영향으로 운항에 지장 있을때 사용   ② 활주로 1개의 풍극범위가 95% 미만 인경우  ③ 바람 강할때 1개만 사.. 2025. 3. 25.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