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서술형/토공,배수5

배수시설 설치시 유의사항 1. 개요 1) 도로의 파손은 배수불량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도로의 배수설계는 도로의 구조, 기능, 교통안전에 중요 요소. 2. 배수시설의 종류 1) 표면배수: 도로표면, 비탈면 및 주변부에 내린 우수를 처리.  ① 노면배수: 길어깨 배수, 중분대 배수, 노면 종 횡단 배수  ② 비탈면 배수: 산마루, 비탈 끝 배수, 소단 배수, 도수로 배수  ③ 측도 및 도로 인접지 배수: 측도배수, 비탈어깨 끝 배수 2) 지하배수: 동상 및 펌핑 방지, 포장층 보호  ① 땅깎기부, 흙 쌓기 부, 절성 경계부, 중분대 지하배수 3) 횡단배수: 배수관거, 암거 4) 교량배수: 배수구, 배수관, 침투수 처리대책 5) 터널 배수: 측방주 배수관, 유공 배수관, 방수막, 누수 집수관 6) 시공 중 배수: 시공시 가배수.. 2025. 3. 23.
도로 연약지반 판정기준과 연약지반 처리공법의 종류 및 특징 1. 개요 1) 연약지반은 성토 규모나 구조물에 따른 상대적 의미로서 원지반이 건설예정 구조물의 안정성을 만족하지 못할 때 개량 대책 검토. 2) 연약지반은 점성토 지반과 사질토 지반으로 나누어 판정하되 시추조사, 원위치 조사 등을 통해 판단.  ① 일반적인 경우 점성토 N≤4~6, 사질토 N≤10을 연약지반으로 판정.  ② 특히 점성토 이탄질 지반에서 N값으로 연약지반 판정할때 주의 2. 연약지반 조사, 시험 항목별 시험목적 1) 핸드오거: 연약지반 확인 2) 시추조사: 지층 확인 3) 피에조콘 관입시험: 연약지반 파악 및 설계 정수 획득 4) 간극수압 소산시험: 압밀계수 산정 5) 베인시험: 비 배수 전단강도 산정 6) 탄성파탐사: 연약지대 파악 7) 공내재하시험: 전단변형 특성 파악 8) 실내시험:.. 2025. 3. 16.
사면의 붕괴 원인 및 안정성 향상 대책 설명 1. 개요 1) 절토 사면은 자연적으로 이루어져 있는 지반을 깎아서 만든 인공사면으로 불균일한 지층에 단층과 절리 등의 복잡한 지질 구조로 구성. 2) 절토 사면의 장기적인 안정성 유지를 위해서는 암반상태, 사면높이, 용수 발생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붕괴방지 대책 시행. 2. 절토 사면 붕괴 원인. 1) 수리적 원인  ① 기후: 집중 강우로 인한 간극수압 증가는 지반강도를 저하시키고 동결융해로 인한 사면 유실은 표층 들뜸으로 녹화재 박락을 유발.  ② 지형: 절토사면 내외부의 계곡부는 지표수, 지하수 공급경로가 되어 지반강도 저하, 풍화, 열화 촉진으로 사면 안정성 저하 초래. 2) 지질적 원인  ① 단층: 단층 한쪽의 점토층에 불투수막이 형성될 때 반대쪽의 지하수위가 상대적으로 상승되어 사면 붕.. 2025. 3. 9.
토적곡선과 토공유동표 작성기준 및 토량 배분시 유의사항. 1. 개요 1) 선형공사의 설계단계에서 흙 쌓기, 흙 깎기의 토량 배분 계획을 수립하는 경우 토적곡선과 토공유동표를 이용하면 경제적으로 토공작업 설계 가능. 2) 국토교통부에서 지형정보체계(GIS)를 기반으로 토석정보공유시스템(Tocycle)을 구축하여 공사 현장에서 발생되는 순성토와 순사토의 토량을 체계적으로 온라인에서 관리. 2. 토적곡선 1) 종단선형을 따라 토공량의 과소를 누계하여 나타낸 도표로 흙의 이동량 파악이 가능. 2) 절, 성토량 배분을 통해 토공균형, 운반거리 산정, 거리 별 적정 장비 선정, 공사비 산정에 사용. 3) 토량계산에 필요한 땅깎기의 단면적은 토사, 리핑암, 발파암으로 구분하여 산출하고 토사, 리핑암, 발파암은 지반조사 결과에 의해 결정. 4) 종방향 토량 이동만 표시하고 .. 2025. 3. 2.
도로 노면 배수시설 1. 개요 1) 도로의 노면수는 강우 또는 강설에 의해 도로의 차로, 길어깨 및 중앙분리대에서 발생한 노면수와 땅깎기 비탈면에서 노면에 도달하는 우수가 있음. 2) 차로, 길어깨, 중앙분리대 및 깎기부 비탈면에서 발생하는 우수 및 융설수를 처리하기 위해 노면 배수시설 설치.  2. 도로 노면 배수시설 종류 1) 중앙분리대 배수시설  ① 도로의 곡선 구간에서 중앙분리대로 모이는 노면수 처리. 2) 길어깨 배수시설  ① 직선 및 곡선 구간에서 길어깨로 모이는 노면수 처리.  ② 길어깨 위치에 따라 흙쌓기, 흙깎기 구간 배수로 구분. 3) 비탈면 배수시설  ① 깎기부, 쌓기부 비탈면이 우수에 의해 유실되지 않도록 배수 처리.3. 배수시설의 설계 빈도 1) 배수시설의 규모는 배수계획지점의 설계홍수량으로 결정. .. 2025. 2. 23.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