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교통8

연속류 도로 효과척도(MOE) 1. 개요 1) 효과척도는 도로교통시설의 질적 운행상태를 나타내는 혼잡 정도로서 도로 구분에 따른 운행 상태를 속도(s), 교통량(v), 밀도(d)로 표현 가능 2. 도로 구분에 따른 효과척도 1) 고속국도: 서비스 수준을 나타내는 주 효과척도는 밀도로 표현, 정상적인 고속 국도는 속도 변화가 없어 속도로 표현 곤란 2) 다차로도로: 평균 통행속도는 단위시간에 통행한 거리의 평균값으로 표현 3) 2차로 도로: 저속차량에 의해 정지, 지체 발생하여 총 지체율로 표현, 트럭 트레일러 등이 차량군 형성하면 일반차량들도 정지, 지체 반복 4) 신호교차로: 분석기간(첨두 15분) 동안의 차량 당 평균제어 지체로 표현, 지체 크기에 따라 A~FFF까지 8등급으로 구분 5) 비신호교차로: 양방향 정지교차로는 평균 운.. 2025. 6. 24.
연속류, 단속류 1. 개요 1) 도로의 교통류는 크게 연속류와 단속류로 구분 2) 연속류는 교통 흐름을 통제하는 외부 영향이 없는 흐름 3) 단속류는 고정된 교통 통제 시설의 영향을 받는 흐름 2. 연속류, 단속류의 특징 1) 연속류 ① 종류: 고속도로, 다차로도로, 2차로도로 ② 효과척도: V/C, 밀도, 평균통행속도, 총 지체율 ③ 방향전환: IC, JTC 2) 단속류 ① 종류: 신호교차로, 비신호교차로, 회전교차로 ② 효과척도: 평균제어지체, 상충 횟수 ③ 방향전환: 회전차로 등을 이용한 평면교차로 3. 연속류, 단속류 용량등대 방안 1) 루프 연결로와 연결로가 인접 접속하는 연속류의 용량 증대방안 ① 엇갈림 구간 속도 저하 및 교통사고 증가로 용량 저하 ② 대책: 램프 직결형 IC 계획, 부득이한 .. 2025. 6. 23.
도로의 용량분석 1. 개요 1) 도로의 용량이란 15분 동안 최대로 통과할 수 있는 승용차 교통량을 1시간 단위로 환산한 최대 교통류율을 말함 2) 도로 용량 분석은 기존도로의 문제점을 파악한 후 개선하고 계획 단계에서는 차로수 산정, 오르막차로, 엇갈림길이 산정 등에 활용 2. 도로의 용량 분석 1) 계획 및 설계 분석 ① 서비스 수준을 만족하는 차로수 분석 ② 교통 조건 및 도로 조건을 고려하여 차로수 산정 ③ 차로수= 수요 교통량 / 서비스 교통량 ④ N(일방향 차로수) = PDDHV / SFi PDDHV: 첨두시간 설계교통량 SFi: 첨두시간 환산교통량 2) 운영상태분석 ① 현재 또는 장래 서비스 수준 분석 ② 첨두시 환산 교통량(Vp)으로 환산 ③ 도로, 교통 조건에 대한 용량(C.. 2025. 6. 12.
어린이 보호구역의 교통사고 발생 최소화 방안 1. 개요 1) 최근 5년간 전체 어린이 교통사고는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어린이 보호구역 내 사고 비율은 증가 추세 2) 20.03부터 시행된 '민식이 법'에 따라 보호구역 내 신호등, 과속 단속카메라, CCTV 설치가 의무화 되었음에도 사고 비율이 증가하여 개선 방안 절실히 필요 2. 어린이 교통사고 특징 1) 시간대별 사고 비율  ① 등하교 시간인 오전 8시와 오후 2~6시에 집중적으로 발생  ② 그 중 오후 2~6시 교통사고가 전체의 78% 차지 2) 법규 위반별 사고 비율  ① 안전 운전 불이행이 57%, 보행자 보호 의무 위반이 19%  ② 어린이 교통 행동 특성을 파악하여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안전 운전, 보행자 보호 필요 3. 어린이 교통행동 특성 1) 주의를 살피지 않으며, 위험한 상황의 .. 2025. 3. 28.
고령화 고려 도로설계 1. 개요 1) 고령화란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로 최근 저출산과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급속도로 고령화 진행 중. 2) 고령인 경우 운전자 및 보행자가 신체적, 인지적 능력이 저하됨으로써 안전하고 편리한 도로를 이용할 수 있게 고령자 특성을 고려한 도로 설계 방안 마련해야 함. 2. 교령화에 따른 고령자의 특성 1) 고령 운전자  ① 위험 대처 능력 저하, 저속운전, 급제동  ② 인지반응시간 느림, 빛에 대한 민감도 및 동체시력 저하  ③ 돌발 상황시 인지, 판단, 동작속도 및 정확성 저하  ④ 기억력 감퇴로 인지 및 기억처리 속도 저하 2) 고령 보행자  ① 보행속도 느림  ② 인지, 판단, 행동속도 느림  ③ 위험 상황 대처능력 저하  ④ 낙상사고 위험 증가 3. 고령 운전자를.. 2025. 3. 21.
차로수 결정 1. 개요 1) 차로수 결정은 계획 교통량(AADT)과 계획된 도로 용량에 따라 적정 서비스 수준을 만족할 수 있도록 결정. 2) 차로수가 과다하면 예산 낭비가 되고 부족하면 잦은 교통 혼잡 발생. 2. 차로수 결정. 1) 차로수(N) 결정 과정 2) 차로수 결정 요령  ① 계산된 차로수는 소수점 올림하여 정수사용.  ② 교통량 적은 경우에 2차로 이상.  ③ 계산된 차로수는 기본구간 차로수.  ④ 연결로 접속부 등의 차로수는 차로수 균형 고려.  ⑤ 도시지역은 홀수차로 가능.  ⑥ 연결로 등 일방향 도로는 1차로 가능.3. 차로수 결정시 유의사항. 1) 설계시간계수(k) 산정 시 문제점 및 개선사항.  ① 실제 순위와 설계순위 불일치.  ② 변곡점 미발생.  ③ 접선을 이용한 k 값 산정 필요. 2) .. 2025. 3. 14.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