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 유도로란 항공기 순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항공기의 주상주행 및 비행장의 각 지점을 연결하는 이동로
2) 유도로의 배치는 활주로에 종속하며 계류장 위치, 시설물의 배치 등을 고려하여 활주로 용량제고를 목적으로 배치
2. 유도로 종류
1) 직각유도로
① 소규모 공항에 설치
② 활주로 중간에 설치
③ 활주로 끝단에 회전 패드 설치
2) 평행 유도로
① 활주로 점유시간 단축
② 활주로와 평행하게 배치
3) 선회 유도로
① 활주로 말단부에 설치
② 항공기 우회로, 대기장소로 활용
4) 고속 탈출 유도로
① 활주로 점유시간 최소화
② 활주로에 예각으로 설치
③ 항공기 이착륙이 많은 활주로에 적용
3. 유도로 설계 시 고려사항
1) 유도로의 경로
① 복잡한 동선 회피, 유도거리 감소
② 항공기 주행시간 단축 위해 단순화
③ 방향 전환 시 충분한 회전반경 적용
2) 활주로 점유시간 단축을 위해 고속탈출 유도로 설치
3) 충돌 방지를 위해 일방통행 고려
4) 유도로를 이용하는 항공기로 인해 계기 착륙 장치 등 전파 방해 방지
4. 유도로 배치 계획
1) 활주로와 유도로 간 최소간격
① 취항 할 최대 항공기의 폭으로 결정
② FAA: 180m
③ ICAO: (착륙대 폭/2)+(설계항공기 익폭/2)
2) 평행 유도로 간 최소 간격
① FAA: 102m
② ICAO: 설계항공기 익폭+(횡방향 일탈X2)+여유 폭
3) 유도로와 장애물 간 최소거리
① FAA: 유도로 중심선에서 62m
② ICAO: (설계 항공기 익폭/2)+최대 일방향 일탈+여유폭
4) 계류장 내 유도로와 장애물과 거리
① ICAO: 55m 이상
5. 결론
1) 항공 교통량이 많을 경우 고속탈출 유도로를 설치하고 고속탈출 유도로 위치 결정 시 장래 교통량 분석
2) 유도로의 배치는 활주로 배치에 따라 달라지며 항공기 이동시 최소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
3) 유도로 배치는 방향 변화 횟수 최소화하고 방향 변화 각도는 작고 완만하게 해야 함.
'서술형 > 공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기 주기장, 유도 업무 차량, 엔진 후류, 계류 규칙, 정보 배포 등 계류장 설명 (0) | 2025.04.04 |
---|---|
계류장 형태 및 계획시 고려사항 (0) | 2025.04.03 |
활주로 공시거리 (0) | 2025.04.01 |
활주로 길이 (0) | 2025.03.31 |
활주로 배치방법 (0)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