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술형/공항

계류장 형태 및 계획시 고려사항

by road-airports 2025. 4. 3.
728x90
반응형
SMALL
반응형

1. 개요

 1) 계류장이란 여객의 승강, 화물의 적재 적하, 항공기 정비, 급유 등을 위해 주기하는 장소

 2) 항공기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계류장에서 작업이 용이하도록 배치, 형태, 규모를 효율적으로 계획

 

2. 계류장 계획 시 고려사항

 1) 활주로와 Gate 사이 진입거리 최소화 위치

 2) 항공기 이동이 자유롭고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는 평면 계획

 3) 장래의 수요에 충분한 Gate 수

 4) 여객의 승강에 필요한 시설

 5) 항공 화물의 승강에 필요한 시설

 6) 지상 조업 서비스, 급유에 필요한 시설

 

3. 계류장 용량 산정

 1) 항공기의 주요 수요 처리공간과 단위 시간 내 최대한 처리 가능한 항공기 수

 2) 용량 G= V x T/U

   - G: 소요 Gate 수

   - V: 설계수요 (첨두시 운항횟수)

   - T: 평균 주기 (게이트 점유) 시간

   - U: Gate 가동률 (0.6~0.8)

 3) Gate 수가 정해지면 주기방식 검토

728x90

4. 계류장 형태 및 특징

 1) 선형

  ① 소규모 공항에 적합

  ② 항공기 지상이동 용이

  ③ 장래 확장 용이

  ④ 여객 동선 불량

 2) Pier 형

  ① 많은 게이트 소요에도 중앙집중

  ② 보행거리 증가

  ③ 건설비 고가

  ④ 장래 확장 및 항공기 지상이동 불리

 3) 위성배치형

  ① 대형공항에 유리

  ② 중앙 터미널 소형화 가능

  ③ 건설비 고가

  ④ 별도의 수송수단으로 연결

 4) 이동형

  ① 항공기와 터미널을 지상 운송 차량으로 연결

  ② 승객처리 시간 증가 및 지연 초래

 

5. 결론

 1) 계류장 계획 시 항공기의 대형화에 대처하고 장래 확장 가능성을 고려

 2) 공항 용량 고려하여 승객의 편의 향상, 공항 처리 용량 효과적 계획

 3) 계류장의 총면적은 예상되는 최대 교통량을 신속히 처리할 수 있는 충분한 넓이로 고려

SMALL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