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 ICAO ANNEX 14에 의해 항공기 이착륙 활주로 공시거리 공시해야 하며 우리나라 모든 공항에서 활주로 별 공시거리를 항공정보 간행물(AIP)에 공지
2) 활주로에 개방구역, 또는 정지로가 설치되지 않고 활주로 시단이 활주로 끝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공시거리 4가지가 모두 동일
2. 활주로 공시거리
1) 이륙활주 가용거리(TORA)
① 항공기가 이륙하기 위해 바퀴로 굴러가는데 이용하는 활주로 거리
2) 이륙 가용거리(TODA)
① 이륙 항공기가 이륙하여 일정고도까지 초기 상승하는데 필요한 활주로 길이
② 개방구역 설치되면 TORA에 개방구역 길이 추가
3) 가속정지 가용거리(ASDA)
① 이륙 항공기가 이륙을 포기하는 경우 정지하는데 이용하는 활주로 길이
② 정지로를 설치하면 TORA에 정지로 길이 추가
4) 착륙 가용거리(LDA)
① 착륙 항공기가 지상 활주하는 동안에 이용하는 활주로 길이
② 착륙 경로에 장애물이 없는 경우 LDA는 TORA와 같으나 정지로 불포함
3. 공시거리 적용 시 고려사항
1) 활주로, 정지로, 개방구역은 장래 취항이 예상되는 항공기의 이착륙 요건에 충족되어야 함
2) 정지로가 설치되지 않은 활주로에 개방구역만 있는 경우 필요한 활주로 길이는 가속정지거리와 이륙 활주 거리 중 큰 값과 같아야 함
3) 경제적인 건설을 위한 최소 활주로 길이 및 최대 정지로 또는 개방구역 길이는 설계 항공기의 성능 자료를 이용하여 결정
4) 활주로 길이는 예상되는 항공기의 운항 요구조건에 만족해야 하며 비행장 조건에 맞게 보정한 길이보다 짧으면 안 됨
4. 결론
1) 활주로 길이는 공항 설계에 중요한 요소이며 공항의 크기와 운영방식에 영향을 미침
2) 경제적인 활주로 공시거리를 위하여 균형 현장거리 확보
① TODA=ASDA
② stop way=clear way
3) 활주로 공시거리 확보는 경제성, 환경적 측면에서 불리하므로 항공기 성능개선을 통한 공시거리 확보방안 연구 필요
'서술형 > 공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류장 형태 및 계획시 고려사항 (0) | 2025.04.03 |
---|---|
유도로 종류 및 배치계획 (0) | 2025.04.02 |
활주로 길이 (0) | 2025.03.31 |
활주로 배치방법 (0) | 2025.03.25 |
공항 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용량 증대 방안 (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