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술형/구조,터널

터널 갱구부

by road-airports 2025. 3. 24.
728x90
반응형
SMALL

1. 개요

 1) 터널은 도로의 노선 선정 시 우회거리 단축, 절취량 최소에 따른 환경 훼손 방지 등을 고려하여 설치되는 구조물

 2) 터널 갱구 위치 선정은 비탈면의 안정, 주변 환경과의 조화, 갱문 형식의 조화 및 주행 차량에 미치는 여향을 고려하여 선정

 

2. 터널 갱구부

 1) 갱구부의 범위

  ① 갱문 구조물 배면으로부터 터널길이 방향으로 터널 직경의 1~2배 범위

  ② 터널 천장부로부터 토피고 3~5m에서 1.5D 토피고가 확보되는 범위

 2) 설계 시 고려사항

  ① 위치 및 설계방법, 시공범위

  ② 굴착, 보조공법, 지보구조, 라이닝 구조

  ③ 비탈면 안정검토 및 비탈면 안정검토 공법
  ④ 지표수 및 지하수 배수대책

  ⑤ 지표면 침하 등 갱구 주변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

728x90

3. 터널 갱구부 설계시 유의사항

 1) 주행 안전성 저해 및 부조화된 경관 초래되지 않도록 주의 필요

  ① 지형의 과다한 훼손은 낙석, 눈사태 등 자연기상 재해 요인

  ② 주행 차량의 안전성 및 쾌적성 저해

 2) 도로선형 계획시부터 터널 위치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 필요

  ① 터널의 갱구부 위치조정 시 터널 전후 선형이 이동

  ② 대절토 비탈면(갱구 배후 비탈면, 좌우측 비탈면) 발생 최소화

  ③ 선형 계획시 갱구의 위치는 경사면과 직교하는 위치에 설치

 3) 부득이하게 경사면과 평행하게 위치가 선정되는 경우 보강 대책을 수립해야 함

  ① 극단적인 경우 토피고 확보 불가

  ② 억지말뚝을 설치하여 편토암 및 사면에 대한 안전성 확보

 4) 갱구부 사면에 무한사면이 형성되는 경우 위치 재검토가 필요

  ① 장대사면 형성에 따른 과다한 토공량 발생

  ② 단기적 안전성을 확보 가능하나 장기적 안정성 불리

  ③ 갱구부 이동 검토, 사면 보강 안전성 검토

 5) 터널의 연장 조정을 위한 불리한 위치 선정은 지양

  ① 갱구부 계곡 또는 산 중앙부 이동 → 터널 연장 감소 효과

  ② 주변 지표수의 집수 등 자연재해 발생 가능

  ③ 공사비 절감 사유로 하는 터널 연장 축소는 지양

 6) 지형 지질조건 등을 검토하여 훼손 최소화되도록 위치 선정

  ① 안정된 원지반의 이완이 최소화 되도록 선정

  ② 갱구 견사면에 미치는 영향, 주변경관의 조화, 갱구부의 시공법 등을 고려하여 적당한 토피 확보

 

4. 결론

 1) 터널 갱구부 위치 선정 시 경제성을 고려하여 터널 연장 축소, 토공부 절취사면 과다 발생 시 환경부 협의 곤란으로 설계 지연 및 재설계가 빈번하므로 환경 훼손 최소화하는 갱구부 위치 및 갱문 계획

 2) 노선 선정 시 터널 구조의 안정성, 소요 공사비 최소화, 환경 영향 최소화를 고려하여 발주처, 설계자, 전문가의 자문을 걸쳐 최종 갱구부 위치 선정

 3) 터널 입구부는 교통 용량 감소 구간이므로 갱구부 확폭, 조도 개선 등 운전자 압박감 저감을 위한 대책이 필요

 4) 터널 갱구부 위치 선정을 위한 정략적인 기준 정립 필요

  ① 현재 터널 갱구부에 대한 설계기준 미정립

  ② 최소 토피고 (2~3m) 확보 등 불분명한 내용만 존재

  ③ 설계 및 시공에 따라 상이한 기준 적용

SMALL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