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 터널 내에서는 외부 유입물질, 자동차 배출가스 등에 의해 내부 공기가 오염됨에 따라 운전자의 건강 및 안전에 영향을 미침.
2) 이에 따라 자연 환기 만으로 환기가 불가능한 경우 기계환기 시설에 의한 환기가 필요한 경우 발생.
2. 터널 환기시설
1) 환기 방식 선정.
① 자연환기방식: 소요 환기량을 교통 환기력만으로 충족할 경우.
② 기계환기방식: 소요 환기량을 교통 환기력만으로 충족 못 할 경우.
2) 환기 방식 선정시 고려사항.
① 터널의 제원
- 종단경사는 환기방식에 아주 큰 영향.
- 하향경사는 가스 물질 처리가 용량을 결정.
- 상향경사는 매연처리가 용량을 결정.
- 장대 터널은 피스톤 효과 영향으로 터널 내 풍속이 증대.
② 터널의 통행 방식.
- 일방향 교통: 종류식 환기방식이 유리.
- 양방향 교통: 횡류방식, 집중배기 방식이 유리.
③ 주변 환경에 대한 영향.
- 제트팬 환기방식: 터널 출구를 통해 배출.
- 연직갱 방식: 환기탑과 출구를 통해 배출.
- 배치 반횡류식: 터널 내 오염 농도 초과되는 현상 발생.
④ 터널 내 한계 풍속: 일방향 10m/s, 양방향 8m/s
3) 터널의 기계 환기 방식.
① 제트팬 환기 방식: 제트팬을 통해 교통 환기력 및 자연 환기력 보충.
② 연직갱 급배기 종류 환기 방식: 연직갱 설치로 종류 환기 방식 길이 확대.
③ 집진기 부착 종류 환기 방식: 집진기를 통해 매연 일부 제거.
④ 반횡류식 환기 방식: 터널 덕트를 이용해 송, 배기.
⑤ 횡류식 환기 방식: 송, 배기를 양방향으로 덕트를 사용.
⑥ 삭칼드 환기 방식: 대형 분류 장치와 교통 환기력 이용.
⑦ 연직갱 집중배기 방식: 연직갱으로 공기를 유입.
⑧ 순환 환기 방식: 깨끗한 한쪽 터널 공기를 다른 쪽 터널로 치환.
3. 터널 내 환기시설 설치 시 유의사항.
1) 제트형 환기팬을 적용 할 경우 정착부에 대한 안전성 검토가 필요
① 제트팬 가동시 진동 발생으로 라이닝 콘크리트 손상 유발.
② 추락방지용 앵커볼트를 설치하여 안전계수 확보.
2) 터널 내 화재 시 제연용 환기기 운전속도 결정 시 유의사항.
① 환기기 운전속도 결정시 표면으로 연기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② 터널 내 풍속을 일정한 속도 이하가 되도록.
3) 터널의 환기 방식에 맞춘 무리한 종단 계획 지양.
① 제트팬 최대 한계량에 맞춘 종단 계획 수립 발생.
② 환기 방식 검토시 적용 계수의 범위, 오차에 대한 여유 필요.
4) 터널 환기부 위치 선정 시 일반 주민들의 인식을 고려.
① 터널 환기부를 자동차 배기가스 배출구로 다수 인식.
② 인근 휴양 시설 등이 있는 경우 미리 이격 시켜 설치.
5) 터널 시공 중 임시 환기시설 설치.
① 운반 차량, 중장비 등에 의한 배기가스 발생.
② 숏크리트 타설에 의한 분진 및 온도 상승.
6) 공사중 환기 방식은 철거 등 경제성과 환경성을 같이 고려.
① 배기식: 닥트재질 steel-라이닝 타설 시 이용 불가능, 철거.
② 송기식: 비닐 풍관 사용가능, 라이닝 타설시 이용 가능.
4. 결론
1) 터널 내 종단경사는 3% 이하, 환기 시설이 필요한 장대터널의 경우 가급적 2% 이내로 적용.
2) 터널 계획 시 연속되어 시공된 터널은 터널 간격에 따라 하나의 연속 터널로 고려.
① 고통측면: 간격 500m 미만
② 제연측면: 간격 30m 미만
3) 터널 계획 시 장대터널을 회피하고 짧은 터널을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경우가 있는 있으나 전체 노선의 선형 및 공사비, 장래 교통량, 유지관리비, 터널 방재 등을 고려하여 종합적인 검토를 거쳐 환기시설 결정하고 계획.
'서술형 > 구조,터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터널 내화 (0) | 2025.03.30 |
---|---|
터널 갱구부 (0) | 2025.03.24 |
교량설계 형식선정 고려사항 및 고량 상하 특성 (1) | 2025.03.17 |
터널 방재시설 설치 (0) | 2025.03.10 |
교량 접속부에 발생하는 부등침하의 원인과 대책 (0) | 2025.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