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 산지부 도로구간은 지형이 험준하고 경사가 급하여 도로 계획, 설계 과정에 많은 굴곡부, 대절토, 고성토 발생하여 교량, 터널, 암거 등의 대형 구조물을 설치해야 함.
2) 특히 산지부 도로에는 하상경사가 큰 계곡에서 급류로 인해 발생하는 토석과 토사류의 침식을 억제하기 위해 사방댐을 설치하면 효과적.
2. 집중호우에 의한 산지부 도로 피해 유형
1) 토석류 및 부유목 등에 의한 도로 피해
① 집중 호우 내릴 때 우수 흐름에 의해 토사, 자갈, 부유목 등이 원지반에서 분리된 토석류 및 부유목 등에 의해 피해 발생.
2) 산지 하천의 침식 작용에 의한 도로 피해
① 산지 하천은 유하거리가 짧고 급경사로 이루어져있어 단시간에 급류가 발생되어 도로 침식, 유실되는 피해 발생.
3) 횡단 배수시설의 통수단면 부족에 의한 도로 피해.
① 과거 70~80년대 설계기준이 미비할 때 설치된 횡단 배수시설은 규모가 작고 오래 경과되어 토사가 쌓여 집중호우 내릴 때 붕괴.
4) 산사태 및 비탈면 붕괴에 의한 도로 피해.
① 깎기 비탈면은 굴착초기에 노출된 토층이 비교적 단단하지만 동결융해와 풍화작용이 반복되면 전단강도 상실하여 붕괴.
5) 산지부 교량의 피해.
① 집중호우 내릴 때 수위 상승으로 상부에서 떠내려오는 부유목 등 유송잡물이 교각 및 교량 난간부에 적체되면 월류 되어 도로 유실.
3. 산지부의 도로계획 특성
1) 적용기준
①산지부 도로는 재해, 교통, 환경, 기후 등 산지부 특성을 고려하여 횡단구성, 상하행, 터널, 교량 등이 반영된 도로시설물 계획 수립.
2) 도로의 기하구조
① 도로 폭이 협소하므로 기존도로 활용방안을 우선적으로 검토.
② 통행 안전, 원활한 차량 통행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하행 선형 분리, 시거 확보, 대피소 설치 등 국부적 개량 검토.
③ 지형 여건, 교통여건, 재해 발생 등을 고려하여 단면과 폭원 구성.
④ 상하행 분리단면, 터널, 교량, 피암터널 설치등을 검토하고 경관이 수려한 구간은 보존 방안도 함께 검토.
⑤ 계곡부 통과구간은 계곡부의 보존과 경관을 위해 교량 설치 검토.
⑥ 교량 가설 계획을 수립할 때 현장 사무소 가설, 콘크리트 타설 등이 자연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배려.
3) 도로의 단면 계획
① 산지부 도로 횡단을 단단면으로 계획하면 대규모 흙깎기, 흙 쌓기 발생.
② 단단면은 산사태, 낙석 등 재해 발생 원인이 되므로 안전을 위해 지형 여건에 따라 상하행 분리단면 검토.
③ 산지부 도로 횡단을 복단면으로 계획하면 많은 용지 확보 필요.
④ 교량, 터널, 암거 등의 구조물을 적용하여 비탈면 높이를 낮춤으로써 환경친화적인 도로의 장점을 최대한 부각
4) 계곡부 통과방안
① 계곡부 통과할때 평면선형은 직선으로 계획하고 유역면적과 토석류 발생영역 등을 고려하여 통과방안 결정.
② 집중호우 도로의 유실, 침수에 대비하는 '산악지 도로 설계 매뉴얼'에 따라 규격이 큰 횡단 배수시설 또는 교량 검토.
③ 계곡부에 건설되는 배수시설은 산악지형, 유역면적, 수리수문, 지질지반, 구조 분야의 전문가 자문을 통해 구조물의 형식과 규격 결정.
④ 특히, 집중호우 등에 의한 도로 피해 지역에 대해서는 도로 관리청의 설계 자문위원회 심의를 통해 배수시설 결정.
⑤ 산사태 및 토석류 피해 발생이 유려되는 계곡부 통과지점에는 도로 부지 내에 차단시설의 추가 설치 검토.
5) 토석류 및 유송잡물 설계방안
① 토석류 및 유송잡물 발생이 예상되는 경우
- 우수가 집중되는 계곡부에서 하상경사가 15º인 지점부터 상류의 집수면적이 0.05㎢ 이상되는 경우 수로 바닥에 토석류 퇴적물 존재.
- 0.05㎢ 미만인 경우에도 기상자료에서 붕괴이력 확인 가능.
② 토석류 및 유송잡물 차단을 위한 사방댐 설치.
- 하상 경사 큰 계곡에서 급류로 인해 발생하는 토석과 토사류의 침식을 억제하기 위해 사방댐을 설치하면 효과적.
- 콘크리트 사방댐: 기초, 양안 어깨부, 본체를 모두 콘크리트 구조 설치, 기초는 현장 굴착-콘크리트 타설, 본체는 현장 수중 콘크리트 타설.
- 철강재 사방댐: 기초, 양안 어깨부는 콘크리트, 본체는 철강구조 설치, 기초는 현장굴착- 콘크리트 타설, 본체는 현장 볼트 체결 조립.
4. 결론
1) 산지부 도로계획 과정에 기존 도로 활용성을 검토하고 지반 형태, 붕괴지대이력, 기상조건, 보존지역, 천연기념물, 기준 시설물조사.
2) 도로, 구조물, 토질기초, 지형지질, 경관, 환경, 수리수문 분야 전문가의 자문, 관계기관의 의견, 관련 정책의 방향 수립.
3) 수해, 설해, 산사태 등으로부터 안전하고 자연 환경을 보존하고 경관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도로를 설계.
'서술형 > 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로 소음저감방안 (0) | 2025.03.26 |
---|---|
도로 공사구간 교통관리 (0) | 2025.03.20 |
사고 다발구간 산정방법과 교통 안전을 고려한 도로계획 설명 (0) | 2025.03.05 |
스마트 건설기술 활성화 방안 (0) | 2025.02.26 |
도로 접근관리 개선방안 (0) | 2025.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