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 도로의 용량이란 15분 동안 최대로 통과할 수 있는 승용차 교통량을 1시간 단위로 환산한 최대 교통류율을 말함
2) 도로 용량 분석은 기존도로의 문제점을 파악한 후 개선하고 계획 단계에서는 차로수 산정, 오르막차로, 엇갈림길이 산정 등에 활용
2. 도로의 용량 분석
1) 계획 및 설계 분석
① 서비스 수준을 만족하는 차로수 분석
② 교통 조건 및 도로 조건을 고려하여 차로수 산정
③ 차로수= 수요 교통량 / 서비스 교통량
④ N(일방향 차로수) = PDDHV / SFi
PDDHV: 첨두시간 설계교통량
SFi: 첨두시간 환산교통량
2) 운영상태분석
① 현재 또는 장래 서비스 수준 분석
② 첨두시 환산 교통량(Vp)으로 환산
③ 도로, 교통 조건에 대한 용량(C) 산출
④ 교통량 대 용량비 (Vp/C) 산출
⑤ 서비스 수준 반영
3. 도로의 용량분석 결과에 따른 용량 부족 예상 구간 용량 확보 방안
1) 계획 및 설계도로 용량 확보 방안
① 계획시 양호한 선형조합으로 용량 감소 방지
- 교통사고 및 지정체 감소로 용량 확보
- 운전자 기대치 만족하여 쾌적성 및 용량 확보
② IC 계획 시 본선에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계획을 통해 용량 확보
- IC 평면 교차로부 입체 교차로 계획 검토
- 영업소 및 교차로부 본선과 충분한 거리 이격 설치
③ 엇갈림 구간을 해소하여 용량 확보
- 루프 직결형 설치
- 부득이한 경우 집산로 설치
④ IC 간격 부족시 시설물간의 통합 설치를 통한 용량 확보
- 휴게소와 IC 통합 설치
- 통합설치로 연결로 설치 최소화
⑤ 좌회전 차로수는 첨두시간 교통량을 고려하여 용량 확보
- 정체 시 본선에 영향
- 대형차 혼입율까지 고려
- 2차로 설치 등 용량 확보
2) 운영중인 도로의 용량확보 방안
① 좌회전 처리방식 변경으로 평면 교차로 용량 확보
- 교통량 적은 구간 감응식 신호등, 비보호 좌회전 적용
- 좌회전 교통처리 방식 변경: P-turn, U-turn
② 교차 상충 최소화하여 평면교차로 용량 확보
- 도시지역: 단순입체 교차로 (지하차도) 설치
- 지방지역: 회전교차로 설치
③ 교차로 개선을 통한 용량 확보
- 예각 교차로에서 직각 교차로 개선
- 좌회전차로, 변속차로 등을 설치
4. 결론
1) 도로계획시 평면 및 종단계획, 기본차로와 부가차로 계획 등 종합적으로 교통용량 확보 가능하도록 계획
2) 운영 중인 도로는 용량 분석을 통해 용량 부족 구간 개선을 통해 용량 확보
3) 계획 단계에서부터 계획 교통량을 정확히 산정하여 적절한 차로수 및 도로의 기하구조 계획으로 도로 용량 확보
4) 대도시의 대부분 도로용량운 초과상태로 구간 개선에 제약이 많으므로 교통수요 관리를 통한 도로 용량 확보 필요.
'서술형 > 교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이 보호구역의 교통사고 발생 최소화 방안 (0) | 2025.03.28 |
---|---|
고령화 고려 도로설계 (0) | 2025.03.21 |
차로수 결정 (0) | 2025.03.14 |
도로의 장래교통량 추정방법 (0) | 2025.03.07 |
도로 용량에 미치는 요인 및 도로 운영을 위한 효율적 용량 증대 방안 (0) | 2025.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