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술형/토공,배수

도로 노면 배수시설

by road-airports 2025. 2. 23.
728x90
반응형
SMALL

1. 개요

 1) 도로의 노면수는 강우 또는 강설에 의해 도로의 차로, 길어깨 및 중앙분리대에서 발생한 노면수와 땅깎기 비탈면에서 노면에 도달하는 우수가 있음.

 2) 차로, 길어깨, 중앙분리대 및 깎기부 비탈면에서 발생하는 우수 및 융설수를 처리하기 위해 노면 배수시설 설치.

 

 2. 도로 노면 배수시설 종류

 1) 중앙분리대 배수시설

  ① 도로의 곡선 구간에서 중앙분리대로 모이는 노면수 처리.

 2) 길어깨 배수시설

  ① 직선 및 곡선 구간에서 길어깨로 모이는 노면수 처리.

  ② 길어깨 위치에 따라 흙쌓기, 흙깎기 구간 배수로 구분.

 3) 비탈면 배수시설

  ① 깎기부, 쌓기부 비탈면이 우수에 의해 유실되지 않도록 배수 처리.

728x90

3. 배수시설의 설계 빈도

 1) 배수시설의 규모는 배수계획지점의 설계홍수량으로 결정.

 2) 설계 빈도나 경제성은 위험도를 고려하여 배수시설 파괴로 인한 피해, 구조물 중요도, 내구연한, 경제성 등에 의해 결정.

 3) 집수정 등 배수구조물 간 접속부는 설계빈도 큰 값 적용.

구분 배수시설 설계빈도
일반국도 암거, 배수관 30년
노면, 비탈면, 측도 및 인접지 도로 10년
산지부 도로 암거, 배수관 50년
노면, 비탈면, 측도 및 인접지 도로 20년

 

4. 도로 배수시설의 설계기준

 1) 설계 홍수량 산정.

  ① 도로의 배수시설은 유역면적이 4㎢ 미만이며 유역 또는 하도의 저류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소규모이므로 합리식으로 설계 홍수량 산정.

 2) 강우강도 결정.

  ① 강우강도는 강우지속기간 5분 이상을 기준으로 결정.

  ② 설계강우강도는 기상청의 해당지역 확률 강우량 IDF 곡선 이용하여 산출.

 3) 유출계수 결정.

  ① 해당 유역이 상이한 토지이용의 피복상태로 구성되는 복합토지인 경우 다음 식을 이용하여 가중 평균 유출계수(C) 산출.

 4) 강우도달시간 결정: 유입시간+유하시간

  ① 유입시간: 집수구역의 가장 먼 지점부터 배수 최상단류까지의 시간.

  ② 유하시간: 강우가 배수시설을 거쳐 하천이나 바다로 도달하는 시간.

 5) 유속과 유량 결정.

  ① 도로 배수시설은 자유수면이 존재하는 개수로의 상태이므로 만닝 공식에 의해 유출 계수로부터 유속과 유량 산출.

  ② 평균 유속(V) 공식에서 아래 식으로 유량(Q) 산출.

 6) 경제적인 수로 단면 설계

  ① 만닝의 유량공식으로부터 개수로의 통수단면 형상과 조도 계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수로의 통수능 산출.

 7) 개수로의 경제적인 수로 단면 형상.

 

5. 노면 배수 향상 방안

 1) 노면 배수 방식 변경.

  ① 현재 노면 배수는 L형 측구나 중앙분리대 집수정을 통해 특정 지점으로 모아 배수하는 방식.

  ② 급경사지와 같이 노면배수 취약구간에서는 도로 전폭에서 배수할 수 있는 선배수시설 사용.

 2) 도로 기하구조 개선.

  ① 편경사 변화구간과 같은 취약구간에서는 그루빙을 사선으로 설치하여 초기노면배수 원활하게 함.

  ② 도로 평면의 완화곡선과 종단 오목부가 겹치는 구간에는 배수성 포장 적용.

  ③ 해외에서 적용하는 합성경사를 활용하여 편경사와 종단경사 모두 고려한 범위를 산정하여 배수.

 3) 유지 관리

  ① 도시부 도로 침수 중 초기원인이 이물질에 의한 배수 불량.

  ② 주기적으로 낙엽, 쓰레기 등 이물질을 제거하고 집중 호우 기간에는 배수시설 점검 강화 필요.

 

6. 도로 배수설계의 설계, 시공 고려사항.

 1) 설계조건: 배수시설 설계시 지형도나 지반조사 자료만으로는 정확한 성과품 도출 할 수 없으므로 예비단계에서부터 직접 현장조사 실시.

 2) 시공조건: 배수시설의 공사내용 파악하고 지형, 지질, 기상, 자재, 주변환경 등 현지조사 통하여 적합한 시공계획 수립.

 3) 유지관리 조건: 도로공용 후 재해 발생 시 긴급복구 및 시설개량 대책, 환경 피해 저감 대책 등 유지관리계획 수립.

SMALL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