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술형/토공,배수

배수시설 설치시 유의사항

by road-airports 2025. 3. 23.
728x90
반응형
SMALL

1. 개요

 1) 도로의 파손은 배수불량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도로의 배수설계는 도로의 구조, 기능, 교통안전에 중요 요소.

 

2. 배수시설의 종류

 1) 표면배수: 도로표면, 비탈면 및 주변부에 내린 우수를 처리.

  ① 노면배수: 길어깨 배수, 중분대 배수, 노면 종 횡단 배수

  ② 비탈면 배수: 산마루, 비탈 끝 배수, 소단 배수, 도수로 배수

  ③ 측도 및 도로 인접지 배수: 측도배수, 비탈어깨 끝 배수

 2) 지하배수: 동상 및 펌핑 방지, 포장층 보호

  ① 땅깎기부, 흙 쌓기 부, 절성 경계부, 중분대 지하배수

 3) 횡단배수: 배수관거, 암거

 4) 교량배수: 배수구, 배수관, 침투수 처리대책

 5) 터널 배수: 측방주 배수관, 유공 배수관, 방수막, 누수 집수관

 6) 시공 중 배수: 시공시 가배수로, 가도수로, 가배수관

728x90

3. 배수시설 설치시 유의사항

 1) 터널 내부의 경사가 유입부 경사보다 적은 경우 배수에 주의 필요

  ① 터널 내 배수관 유속저하, 유출입부의 동절기 결빙

  ② 터널 경사 다소 급하게 계획, 단면 증대 검토

 2) 터널 시점이 산 하단부 통과하는 경우 계곡 전체의 유역 고려

  ① 측구 규격 결정시 소 구간별 유역면적에 의한 규격 결정은 지양

  ② 계곡 전체의 유역을 고려한 측구 규격 검토 필요

 3) 교량 하부 배수는 교대 보호블럭에 직접 낙수 되지 않도록 해야 함

  ① 직접 낙수시 블록 세굴, 미관불량

  ② 측면 도수로로 유도

 4) 고성토부 시공 시 노면수 처리 시 한곳에 집중되지 않도록 분할처리

  ① 집중호우 시 쌓기 비탈면이 유실

  ② 가배수로 및 침사지 설치

 5) 종단곡선 저점과 편경사 접속설치 구간 겹치지 않도록 계획

  ① 배수불량 구간으로 주행성 불리, 포장 파손 원인

  ② 선형 조정하여 종단 오목부와 편경사 접속설치 구간 이격

 6) 방음벽 설치구간 길어깨 집수정 지양하고 개구부 설치

  ① 집수정 설치 시 시공성 불량

  ② 방음벽 벽체 배수용 개구부 설치하여 도수로 연결

 7) 박스 구조물의 용량 결정 시 최근 집중 호우 현상 고려 필요

  ① 집중호우 시 도로 침수 발생

  ② 수리계산상 문제가 없으나 여유 있게 산정

 8) 연약지반 구간 내 가배수관 설치 시 주의 필요

  ① 우수에 의하여 주변 샌드매트 세굴 우려

  ② 샌드매트보다 더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설치 필요

 9) 절토부 다이크 설치구간 표면수 유입방지 대책 필요

  ① 토사 되메우기를 다이크 상단보다 높게 설치

  ② 되메우기 구간 내 유공관 설치

 

4. 결론

 1) 근래 이상기후로 인한 집중 호우 피해가 반복적으로 발생되고 있으므로 기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기준 강화 필요

  ① 설계 강우강도 강화: 현설계 X 할증률 (10%)

  ② 포장 유출계수 상향: 현재 0.9 → 개선 0.95 적용 

  ③ 구조물 크기 여유 있게 산정

 2) 절성 경계부 경계면에 반드시 맹암거 설치 및 층따기를 하여 슬라이딩 예방

 3) 배수성 포장 구간 내 종단 오목구간은 횡방향 유공관을 설치하여 물고임으로 인한 포장 파손 예방 및 노면수를 신속히 배수

 4) 기존도로 확장구간은 배수유역이 증가하므로 기존 배수시설 외 별도의 추가 배수시설을 설치

 5) 기존도로에 교통정온화 시설 노면 물고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집수정 및 선배수 시설을 추가 설치

 6) 산지 통과 시 계곡 상류부까지 현장 조사를 통한 토석류 방지시설 설치 검토

  ① 토석류 발생원인은 계곡 상류부 구조에 있음

  ② 유역면적 무관하게 토석류 발생 가능 지역에 설치 필요

SMALL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