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술형/기하구조

일관성 유지를 위한 도로 선형의 조합

by road-airports 2025. 3. 27.
728x90
반응형
SMALL

1. 개요

 1) 고속도로 입체교차 연결로 선형은 인터체인지 형식과 규모에 따라 결정되는데 인터체인지의 성격 (교차도로 규격, 교통량, 차종구성, 교통조건 등)에 적합한 형식과 규모를 결정

 2) 특히 연결로에서는 자동차 유출입 유형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차로수 균형 원칙에 맞도록 도로 선형을 조합하여 차로수를 적절히 산정.

 

2. 입체 교차로 연결로에서 유출입 유형의 일관성

 1) 일관성 장점

  ① 차로 변경을 줄일수 있어 직진과 좌우회전 교통 간의 마찰 경감

  ② 도로 표지를 단순하게 설치하여 운전자의 혼란을 예방

  ③ 운전자가 주행 중 정보 탐색 필요성을 감소시켜 안전 운행 가능

 2) 일관성 형태

  ① 유출입 일관성이 없는 형태

   - 유출부가 구조물 전후에 위치 또는 본선 좌우측 유출로 통일되지 않음

  ② 유출입 일관성 있는 형태

   - 일관성 있는 설계를 위해 모든 유출이 구조물 전방과 우측에 있게 함.

 

728x90

3. 일관성 유지를 위한 기본 차로수 균형 원칙

 1) 기본 차로수 의미

  ① 기본 차로수는 교통량 과소에 관계없이 일정 구간에 걸쳐 유지 되어야 할 최소 차로수, 부가차로는 기본 차로수에 불포함

  ② 기본 차로수가 해당 도로를 이용하는 교통량보다 부족한 경우 교통 정체 초래, 특히 고속도로에서는 추돌사고 원인으로 작용

  ③ 기본 차로수는 설계 교통량, 도로 용량 및 서비스 수준에 의해 결정되는데 기본 차로수가 결정되면 해당 도로와 연결로 사이 차로수 균형 유지 필요

 2) 차로수 균형 필요성

  ① 엇갈림 구간에서 차로 변경 횟수를 최소화 가능

  ② 연결로 유출입부에서 차로를 균형있게 제공 가능

  ③ 도로의 구조적인 교통용량 감소 요인 제거 가능

 3) 차로수 균형 원칙

  ① 차로의 증감은 방향별로 한번에 한 개의 차로만 증감

  ② 유출 구간에는 유출 후 차로수 합이 유출 전 차로수 보다 1개 차로가 많아야 함, 부득이한 경우 유출 전후 차로수 같게 할 수 있음

   - 유출전 차로수 ≥ 유출 후 차로수 합-1

  ③ 유입구간에는 유입 후의 차로수가 유입 전의 차로수 합과 같아야 함, 부득이한 경우 유입 후 차로수가 유입 전 차로수의 합보다 1차로 적게 가능

   - 유입 후 차로수 ≥ 유입 전 차로수의 합-1

 

4. 편도 4차로 고속도로에서 기본 차로수 균형 원칙 예시

 1) 분류부 기본 차로수 검토

  ① 분류 직전 차로수:5 분류 직후 차로수:2+4=6

   - 분류전 차로수 ≥ 분류 후 차로수 합-1 ok.

 2) 합류부 기본 차로수 검토

  ① 합류 직후 차로수:5 합류 직전 차로수:4+2=6

   - 합류 직후 차로수 ≥ 합류 직전 차로수 합-1 ok.

 

5. 결론

 1) 고속도로 인터체인지 연결로 유출입부에서 기본 차로수 원칙과 차로수 균형에 맞도록 도로 선형의 일관성 유지하며 설계해야 함.

SMALL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