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 회전차로란 자동차가 우회전, 좌회전 또는 유턴을 할 수 있도록 직진차로와 분리하여 설치하는 차로.
2) 좌회전 차로는 교차로에서 좌회전 차량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설치 원리 고려하여 설계.
① 좌회전 차로를 독립된 부가차로 형식으로 설치.
② 기존 도로 폭을 최대한 유효하게 이용.
③ 좌회전 차량을 대향차로의 직진차량과 동일선상에 배치 회피.
2. 좌회전 차로 설치 기준
1) 차로 폭
① 직진 차로 폭: 접속 유입부 차로 폭과 같도록 하되 3.5m를 3.25m로 축소, 용지 제약 심하면 3.0m까지 축소 가능.
② 좌회전 차로 폭: 3.0m 이상을 표준으로 설계, 기존 교차로를 개선하는 경우 2.75m까지 축소 가능.
2) 접근로 테이퍼(AT)
① 직진차량을 우측으로 유도하여 좌회전 차로 설치공간 확보
② AT 설치 기준은 우측으로 평행 이동되는 값에 대한 거리의 비율로서 운전자가 교차로를 인지하고 우측으로 선형을 이동하는 동안 주행거리
AT=(직진 차로 폭-중앙분리대 폭)/2 X (AT 설치 기준)
③ 테이퍼가 볼록형 종단곡선부에 설치되는 경우 테이퍼 시점을 종단곡선부 시점까지 연장하여 운전자가 인식하도록 설치.
3) 차로 테이퍼(BT): 폭에 대한 최소 변화 비율
① 좌회전 차량을 좌회전 차로 쪽으로 유도하기 위해 설치.
② 테이퍼가 너무 완만하여 직진차로로 혼동하지 않도록 하고 갑작스러운 차로 변경이나 무리한 감속을 유발하지 않도록 설치.
4) 좌회전 차로의 최소길이(L)
① 감속을 위한 길이 (Ld)
② 좌회전 대기차로 길이(Ls)
- 신호 없는 교차로의 경우
첨두시간에 평균 2분간 도착하는 대기차량 기준으로 대기공간 확보.
1대 미만인 경우에도 최소 2대의 대기공간 확보
- 신호 있는 교차로
대형차 혼입률(15% 가정)을 고려하여 7.0m로 계싼하여 확보
화물차 혼입률 많으면 승용차 6.0m, 화물차 12.0m 확보
③ 좌회전 차로 최소길이 (L)
- 신호교차로인 경우 대기 자동차를 위한 길이(Ls)와 감속을 위한 길이(Ld)의 합으로 산출
- 이 식으로 산출된 거리 역시 신호 1주기당 또는 비신호 1분간 도착하는 좌회전 차량 대수의 2배 길이보다 길게 설치 필요.
3. 좌회전 차로 설계 고려사항.
1) 평면 교차로에서 좌회전 차량 대기 행렬이 발생하여 통과교통과 간섭되는 경우 주행 효율성, 안전성이 저하되므로 별도 좌회전차로 설치 필요.
2) 좌회전 차로는 교통 운영의 적정화, 용량의 유지, 추돌사고의 감소를 위해 직진 차로와 독립 설치하여 좌회전 차량이 진입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각적 공간적 여유 확보.
'서술형 > 기하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관성 유지를 위한 도로 선형의 조합 (0) | 2025.03.27 |
---|---|
완화곡선 생략 가능한 경우를 나열하고 완화곡선 적용 유의사항 (0) | 2025.03.13 |
도시부 지하도로의 노선 선정 및 기하구조 (0) | 2025.03.06 |
배수를 고려한 편경사 접속 설치 방법과 접속설치율 (0) | 2025.02.27 |
인터체인지의 배치 및 위치 선정 (0) | 2025.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