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 공항의 마스터 플랜은 항공 수요 충족, 지역사회 발전, 타 교통망, 타공항과 조화를 이루도록 계획하는 종합적인 개발계획.
2) 공항과 해당지역, 주변 지역을 포함, 인근 전 지역을 대상으로 수립되는 종합개발계획.
2. 공항의 마스터 플랜
1) 마스터 플랜의 개념.
① 정보 수집.
- 타공항 수립 시 문제점, 논쟁사례 수집.
- 계획 공항과 입지 조건 비교, 분석, 해결책 제시
② 시설 간 균형.
- Airside, 터미널, Landside 간 서비스 용량의 균형.
③ 최첨단 기법의 적용.
- 모델링, 시뮬레이션 등 첨단 기법 적용 검토.
④ 계획의 유연성
- 공항의 안전과 보안증대, 항공사의 변화 등 문제점 해결을 위한 정기적인 마스터 플랜 보완.
2) 마스터 플랜 수립과정 및 수립 시 고려사항.
① 기초 자료 조사
- 상위계획, 국토종합계획, 토지이용계획과의 부합여부.
- 해당 지역 지형 여건, 기상, 공역 조건 등 제반 여건 조사.
- 지상 및 지원시설, utility 지원시설 사용의 용이성.
- 활주로, 유도로, 계류장, 터미널 등 공항시설 계획의 용이성.
- 용량평가: Airside, Landside, 지상 진입도로.
② 항공 수요 예측.
- 승객과 화물 교통, 항공기 혼합률, 주기장, 터미널 등 수요 예측.
- 예측 수요에 대한 계획 시설물 적정성 평가.
③ 예측 수요에 맞는 용량의 제공.
- 항공 수요를 수용하는 기존 시설의 확장 또는 신설.
④ 환경 영향 검토, 지역사회와 합의, 승인
- 환경 영향 피해 최소화, 저감대책 수립.
- 지역사회와 정책 기관의 승인.
- 상대 민원, 관원 발생 가능성 검토.
⑤ 경제적 타당성 검증.
- 경제성 분석 실시.
- 항공사의 투자 참여, 정부 계획, 자금 조달 방안 검토.
3. 공항 마스터 플랜의 성과물
1) 공항 배치 계획
① Airside, 터미널, Landside의 주요 시설물 배치계획.
2) 공항의 토지이용 계획.
3) 터미널 계획.
① 게이트 수, 수하물 취급시설 계획.
4) 지상 진입 계획.
① 공항 진, 출입로, 환승시설 등.
5) 단계별 확장 계획.
4. 결론
1) 공항의 마스터 플랜은 국가차원에서 추진하는 중요한 계획이므로 시간을 갖고 면밀히 분석 검토해야 하며 공항의 제반여건, 입지여건, 정책, 여론, 민원, 관원 등을 충분히 검토하여 신중하게 수립.
2) 최근 입지 선정 후 지역 간 대립, 정치적 영향으로 사업추진 차질이 빈번하므로 계획, 설계 시 여론 수립, 국가 정책 부합 등 충분히 검토 후 사회적 합의 도출, 입지 선정 후 변경 되지 않도록 해야 함.
'서술형 > 공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활주로 배치방법 (0) | 2025.03.25 |
---|---|
공항 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용량 증대 방안 (0) | 2025.03.18 |
장애물 제한표면, 비행공역 (0) | 2025.03.11 |
공항 시설의 규모 결정과 배치계획 (0) | 2025.03.04 |
공항의 입지선정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