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술형/공항

공항 시설의 규모 결정과 배치계획

by road-airports 2025. 3. 4.
728x90
반응형
SMALL

1. 개요

 1) 공항시설은 항공기가 이, 착륙하는 Airside와 지상 교통시설 공간인 Landside 두 시설을 연결하는 터미널로 구분.

 2) 공항시설은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항공 수요의 신속처리, 이용자의 편의 증진되도록 계획, 설계 시 신중.

 

2. 공항시설

 1) 공항지역 구분

 2) 공항시설

  ① Airside: 항공기 이착륙 지역, 주기지역.

   - 활주로, 착륙대, 유도로, 계류장, 주기장.

   - 항공기 정비시설, 급유시설.

  ② 터미널

   - 여객 터미널, 화물 터미널.

   - 공항 이용객 편의시설, 공항 관리 시설.

  ③ Landside

   - 공항 접근도로, 진출입로.

   - 환승시설, 주차장.

  ④ 기타시설

   - 항행안전시설, 항공등화시설.

   - 항공교통관제시설.

 3) 공항시설의 규모 결정 기준

  ① 제한표면(진입표면, 전이표면, 수평표면, 원추표면)에 장애물이 없을 것.

  ② 비행장의 체공선회권 확보.

  ③ 활주로, 착륙대, 유도로 길이, 폭, 경사도 등 기준에 부합.

  ④ 육상 비행장 설치기준은 항공기의 최소이격거리, 항공기의 날개폭, 주륜 외곽의 폭 등 국토교통부령 기준에 부합.

728x90

3. 공항시설의 배치 원칙 및 방법

 1) 공항 시설 배치의 기본 원칙.

  ① 활주로(위치, 길이, 방향, 수)를 기준으로 배치.

  ② 공항 내 모든 시설은 활주로 내측에 계획.

  ③ 장래 확장을 고려하여 배치.

 2) 공항시설 배치 방법.

  ① 활주로.

   - 가장 우선적으로 배치.

   - 풍향, 풍속고려, 풍극범위가 95% 이상 되도록 계획.

  ② 여객터미널

   - 활주로 및 접근 교통시설과 연결이 편리한 장소.

  ③ 화물터미널

   - 여객터미널 인근에 배치.

  ④ 정비시설

   - 터미널과 근접한 장소에 배치.

  ⑤ 공항지원시설

   - 유사시설 별로 그룹을 지어 배치.

   - 우편시설은 화물 터미널 인근, 기내식 시설은 계류장 인근.

  ⑥ 상업시설

   - 터미널과 일정거리 유지, 터미널 혼잡방지.

 

4. 결론

 1) 공항은 여러시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어느 하나라도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면 공항 용량이 저하되므로 적절하게 배치.

 2) 주활주로는 주풍향과 같은 방향으로 배치해야 하며 모든 활주로에 장애물이 없도록 해야 함.

 3) 운영 중 소음 문제 예방을 위해 활주로의 위치 선정과 방향을 주거 지역과 소음 민감한 지역에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해야 함.

SMALL

 

728x90
반응형
LIST

'서술형 > 공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활주로 배치방법  (0) 2025.03.25
공항 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용량 증대 방안  (0) 2025.03.18
장애물 제한표면, 비행공역  (0) 2025.03.11
공항의 마스터 플랜  (0) 2025.02.25
공항의 입지선정  (0) 2025.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