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 교차부에 지하차도나 고가차도를 설치하여 일정 방향 교통류를 분리, 지상부에 평면 교차를 형성시키는 입체교차 시설
2) 용지, 지장물에 의한 제약 조건이 큰 도시지역 교차로에서 적은 공사비로 교통 용량을 증대 시킬 수 있는 방안
2. 단순입체교차로의 구성
1) 본선
① 종단곡선: 하나의 곡선으로 처리
② 차로수: 편도 2차로 이상
③ 유지관리용 보도: 0.75m
④ 고가차도: 공사비 측면 유리
⑤ 지하차도: 미관상 유리
2) 측도
① 횡단구성, 평면 및 종단선형은 기본 구간과 동일
② 폭: 좌, 우회전 교통량에 따라 결정
③ 차로수: 차로수 균형 원칙에 따라 결정
④ 측도와 본선은 평면 교차
⑤ 좌회전 교통량에 따라 좌회전 차로 설치
3. 단순입체교차로 설치 시 유의사항
1) 인접교차로와의 간격을 고려하여 설치
① 이격거리 짧을경우 위빙 발생
② 사고 발생 및 용량 저하
③ 간격 부족시 후방교차로 좌회전 금지 등 적용
2) 좌회전 교통량 증가에 대한 대책 필요
① 좌회전 교통량으로 인해 본선 교통용량 저하
② 좌회전 차로 증설
③ 지하차도 상부 및 고가차도 하부공간 최대한 활용
3) 지하차도 설치 시 배수 고려하여 계획
① 집중호우 시 지하차도 침수 우려
② 지하차도 전, 후 종단 곡선 볼록형
③ 인접도로 배수 흐름 고려한 유역 면적
4) 도시부 교통량 증가시 평면 교차로를 단순입체 교차로 형식으로 변경 가능하도록 계획단계부터 검토
① 도시부 토지이용계획의 변화가 심함
② 추후 공사시 용지 확보 곤란
③ 평면교차로 계획 시 여유 있게 교차로 형식 적용
5) 측도와 본선 차도와의 차이를 암시
① 운전자 혼돈 예방
② 유색포장 또는 칼라레인 설치
6) 유입, 유출부 시거 확보
① 도시부 종단선형 최소값 적용
② 종단곡선 여유값 적용
4. 결론
1) 단순입체교차로는 용지, 지장물에 의한 제약 조건이 큰 도시지역에 최소비용으로 교통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
2) 공용 중 평면 교차로 설치 후 단순 입체 교차로로 변경은 용지 제약 및 교통 처리 등으로 인해 설치 어려움
3) 계획단계부터 단순입체교차로 설치가 가능한 곳은 적극 설치
4) 단순입체교차로 평면교차로부 회전교통량 증가시 정체 길이가 본선까지 미치므로 교통수요 예측 철저히 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