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 최근 고속국도 교통량이 급증함에 따라 90년대 이전 개통된 구간의 기존 콘크리트 포장 확장 공사에서 부등침하 및 접속부 처리 문제 발생.
2) 터널 및 교량의 확장 방법 등 확장에 따른 기술적 문제 발생.
2. 신구포장 접속 시 문제점
1) 기존 슬래브의 측대폭(50cm) 유지할 경우 차량 하중이 신, 구 슬래브 접합부에 주로 재하.
2) 신, 구 슬래브 간의 연결이 미흡할 경우 슬라이딩 우려.
3) 하중 전달이 미흡할 경우 단차 및 균열 우려.
3. 접속구간 문제 개선대책
1) 기존 측대폭(50cm)을 절삭이나 치핑없이 차로폭에 나누어 안배.
① 분배방법
구분 | 내측측대 | 1차선 | 2차선 |
1안 | +20 | +15 | +15 |
2안 | +0 | +20 | +30 |
3안 | +0 | +15 | +15(확장차로에 +20) |
② 장점
- 연결부에 하중이 재하되는것 방지.
- 포장의 수명이 증진.
- 측대 절단이 없어 시공 간편.
③ 단점
- 기존차로에 안배된 측대폭 만큼 추가 용지 확보 필요.
- 차로폭 조정으로 인한 도색작업 필요.
- 터널, 교량 진입시 차로폭이 줄어드는 느낌.
2) 신, 구 슬래브를 타이바로 연결.
① 측대폭 일부를 기존차로에 안배하는 방법과 함께 적용하는 방안 고려.
② 장점
- 타이바 설치작업 외에는 시공인 간단.
- 하중 전달 원활히 하여 단차 방지.
- 신, 구 슬래브 간의 벌어짐 방지.
③ 단점
- 타이바 설치를 위한 천공작업이 번거로움.
- 천공으로 기존 슬래브 강성 약화.
- 신, 구 슬래브 접속부를 따라 스폴링 발생.
3) 'ㄹ'자 형 타이바 겸 하중 전달장치 사용.
① 천공 대신 슬래브 표면에 홈을 파서 하중 전달장치 삽입 후 에폭시로 홈을 채우는 방식.
② 장점
- 천공 대신 홈을 만드므로 시공 간편.
- 천공 방식보다 인근 콘크리트 약화 방지.
③ 단점
- 'ㄹ'자 형 하중전달장치 별도 제작 필요.
4) 기존 측대부 절삭 및 치핑 후 신설 포장 시공.
① 취약부를 철근 보강 후 신설 포장.
② 장점
- 신, 구 포장 일체화 가능
- 차선 마킹과 접합부의 일치로 차량 주행성 양호
③ 단점
- 절삭 및 치핑에 따른 비용 부담 및 인근 콘크리트 약화 우려.
- 신, 구 콘크리트 간 부등침하 시 균열 발생.
5) 기층깊이까지 슬래브와 일체로 된 key 설치.
① 접합부 신설 포장 측 슬라이딩 방지
② 장점
- 타이바 설치 불필요, 시공 간편, 공기 단축
- 공사비 저렴
③ 단점
- 두께 변화 지점에 응력 집중 커질 경우 균열 발생 가능.
- 접합부가 차로 내에 있어 승차감 불량.
6) 기존 포장의 기층과 신설 포장 슬래브를 타이바로 연결.
① 장점
- 신, 구 슬래브 접합부 보강
② 단점
- 기존 슬래브 밑을 터파기 하고 채우는 과정에서 하중이 신설포장 쪽으로 재하 되는 경우 하중전달 안됨.
4. 결론
1) 잦은 확장공사로 인해 신, 구 콘크리트 포장의 접속부 처리를 현장에 알맞은 개선 대책을 적용하여 접속해야 함.
2) 하중 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포장 강도 저하와 단기간 파손이 우려되므로 적절한 접속 방안 고려.
'서술형 > 포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스팔트를 개질하는 목적과 개질에 사용하는 고분자 재료 (0) | 2025.03.29 |
---|---|
반강성 포장을 설명, 시공 고려사항 (0) | 2025.03.22 |
도로 포장의 공용성 유지를 위한 PMS 및 예방적 유지관리 기법 (0) | 2025.03.15 |
줄눈 무근 콘크리트 포장(JCP)의 줄눈 종류, 역할, 시공 고려사항. (0) | 2025.03.08 |
배수성 포장 (0) | 2025.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