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술형/포장

교면포장

by road-airports 2025. 6. 13.
728x90
반응형
SMALL

1. 개요

 1) 교면포장은 동일한 교통량 조건에서 토공부에 비해 얇은 두께와 구조적 환경적 취약구간으로 조기 포장 파손과 공용수명 저하가 우려

 2) 교통안전 측면과 보수공사에 따른 많은 예산이 투입되어 교면 포장의 수명 증진을 위해 공법 결정에 신중해야 함

 

2. 교면포장

 1) 교면 포장의 구성

  ① 방수층: 침투수로부터 슬래브 보호

  ② 상부층(마모층): SMA 등 소성변형 저항성이 우수한 층 필요

  ③ 하부층(레벨층): 슬래브와 표층의 수밀성, 일체성이 필요

 2) 교면 포장의 종류

  ① 아스팔트 계열의 교면포장(SMA 등)

   - 교면 포장 중 사례가 가장 많음

   - 고무 혼입 개질 아스팔트 적용으로 소성 저항성 증진

  ② 콘크리트 계열의 교면포장(LMC, HPC)

   - LMC: 콘크리트에 라텍스를 첨가시켜 내구성 향상

   - 콘크리트 포장의 도로에서 교면포장으로 일반화됨

  ③ 고성능 콘크리트 노출 바닥판

   - 제설염화물에 따른 열화방지 목적, 내구성 우수

   - 곡선 및 편경사 큰 구간은 시공성 불량으로 미적용

 

3. 교면포장 시공 및 계획 시 유의사항

 1) 아스팔트 혼합물의 철저한 다짐필요

  ① 다짐부족시 우수 침투로 파손우려

  ② 기온이 떨어지면 추가다짐 또는 시공 중지

  ③ 콜드 조인트 방지 위한 피니셔 2단 시공 및 5cm 겹침 포설

 2) 교면 방수 시 침투식은 가급적 배제해야 함

  ① 침투식 설치 시 열화 피해 우려

  ② 도막식 방수: 두께 1.0mm 이상 확보

  ③ 시트식 방수: 시트 가열 후 2~3회 다짐 실시

 3) 바닥판의 철저한 관리 필요

  ① 충분한 건조 후 접착층 즉시 도포

  ② 잔류 수분, 이물질 제거로 블리스터링 방지

 4) 교면 침투수의 처리가 반드시 필요

  ① 종단 낮은 지점, 길어깨 측에 드레인 파이프 매설

  ② 침투수 배제로 포트홀 발생 완화

 5) 교면 포장 유지보수 시 교통 통제를 최소화

  ① 절삭 후 재포장 시 교통 통제에 따른 운전자 불편

  ② 초속경 공법 등을 적용하여 빠른 시간 내 교통개방 필요

 

4. 결론

 1) 최근 제설제 살포량이 많아짐에 따라 교면 포장 및 바닥판의 내구성 확보를 위해 고성능 콘크리트 노출 바닥판의 적용이 늘고 있음

 2) 사장교와 현수교와 같은 장대교는 처짐 추종성을 고려하여 아스팔트 계열의 포장이 유리하고 개질제를 첨가하여 내구성 확보 가능.

  

728x90
반응형
LIST